생활정보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지급대상

the king 2025. 3. 26. 19:07

국민연금 반환일시금 지급대상 및 조건 총정리 (2025년 기준)

국민연금 반환일시금은 국민연금에 가입했지만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납부한 보험료 일부를 일시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일정한 자격 요건이 충족되어야 하며,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받지 못하기 때문에 지급 대상과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고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반환일시금이란?

  • 국민연금 보험료를 10년 미만 납부하고, 노령연금·장애연금·유족연금 수급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 그동안 납부한 보험료 중 가입자 본인이 낸 부분 + 이자일시금으로 환급하는 제도입니다.
 

2. 반환일시금 지급대상

구분 해당 조건

가입 기간이 10년 미만이고, 60세(1953년생 이전은 61~65세)에 도달한 자  
  • 노령연금 수급요건(가입기간 10년 이상)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
    → 연금 대신 일시금으로 반환 가능 | | ✅ 국적 상실 또는 국외 이주자 |
  • 외국인 또는 재외동포가 국민연금 가입 후 국적을 상실하거나 해외 영주권을 취득한 경우 | | ✅ 사망한 가입자의 유족이 유족연금 조건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
  • 유족연금 수급 대상이 없는 경우, 유족이 반환일시금 청구 가능 | | ✅ 장애연금 또는 유족연금 수급권이 소멸된 경우 |
  • 장애 등급이 회복되거나, 유족이 사망·자격상실 시 납부보험료를 반환일시금으로 지급

📌 단,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수급권이 생긴 경우에는 반환일시금 지급 불가

 

3. 지급액 계산 방식

항목 설명

납부한 본인 부담금 전액 근로자 기준으로 회사와 본인이 반반 낸 금액 중, 본인이 낸 금액 전체
→ 지역가입자는 전액 본인 부담이므로 전액 지급  
이자 반영 일정한 이자(연금공단 고시율 기준)가 포함되어 가입 기간별로 가산
세금 없음 반환일시금은 비과세 대상이며, 별도의 세금 공제 없음
 

4. 지급 제외 및 유의사항

상황 설명

이미 연금 수급 중일 경우 연금 수급자는 반환일시금 신청 불가
가입기간 10년 이상인 경우 연금수급 자격을 갖추면, 반환 대신 노령연금 신청만 가능
자동 지급 아님 신청을 해야만 지급되며, 신청하지 않으면 계속 보류됨
5년 내 신청해야 함 반환일시금은 청구권 발생일로부터 5년 이내 신청해야 함
 

5. 반환일시금 신청 방법

절차 상세 내용

온라인 신청  
  •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내 곁에 국민연금’
  • 공동인증서(공동·금융 인증서) 필요 | | 방문 신청 |
  •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 신분증 지참 (유족의 경우 가족관계증명서, 사망진단서 등 필요) | | 해외 체류자 |
  • 재외공관 또는 공단 본부에 우편 또는 대리 신청 가능

결론 요약

✅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이고 연금 수급 자격이 안 되면 반환일시금 수령 가능
국적 상실, 국외 이주, 유족 자격 미달 등도 지급 대상
신청해야 받을 수 있으며, 청구기한은 5년 이내입니다.
납부한 본인 부담금 + 이자를 기준으로 환급되며, 과세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