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당뇨병 말초신경병증 – 원인부터 증상, 치료 및 관리법까지 총정리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 수치만의 문제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전신성 질환입니다. 그 중 하나가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으로, 당뇨 환자의 약 50% 이상이 겪는 흔한 신경계 합병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당뇨병으로 인한 말초신경 손상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주요 증상은 무엇이며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1. 당뇨병 말초신경병증이란?
당뇨병 말초신경병증(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DPN)은 혈당 조절이 장기간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말초신경(사지 끝부분의 신경)에 손상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말초신경이란?
- 뇌와 척수(중추신경)를 제외한 신체 전반의 신경
- 손발, 내장기관, 얼굴 등 다양한 부위에 분포
- 감각신경, 운동신경, 자율신경으로 구성
DPN의 특징:
- 양쪽 발끝이나 손끝부터 저리거나 화끈한 통증, 감각 저하 발생
- 서서히 진행되어 초기에는 증상이 미미하거나 무증상인 경우도 많음
2. 주요 증상 – 신경이 보내는 이상 신호
당뇨 말초신경병증은 감각신경 이상이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운동신경, 자율신경까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감각 이상 증상
- 저림, 화끈거림, 따끔거림
- 작은 자극에도 큰 통증 (이상통, allodynia)
- 밤에 증상 심해짐 → 수면장애 유발
- 감각 둔화로 인한 상처 발견 지연
운동신경 이상
- 발목 또는 발가락 근력 저하
- 보행 시 불안정
- 근육 위축, 반사 저하
자율신경 이상
- 땀 분비 이상
- 소화 장애 (위마비, 설사)
- 혈압 불안정, 기립성 저혈압
특징: 발 → 종아리 → 손 → 팔로 퍼지는 상행성 진행
3. 원인 – 고혈당으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
당뇨 말초신경병증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고혈당으로 인한 혈관 손상과 신경 대사 이상입니다.
병리 기전:
- 지속적인 고혈당 → 신경 주위의 미세혈관 손상
- 산화 스트레스 증가 → 신경세포 내 염증 유발
- 포도당 과잉 대사로 인해 소르비톨 축적 → 신경 부종 유발
- 혈류 부족 → 신경산소 및 영양 공급 저하
위험요인:
- 당뇨병 유병 기간이 길수록
- HbA1c 수치가 높을수록
- 고지혈증, 고혈압 동반 시
- 흡연, 음주, 비만
4. 진단 방법 – 증상부터 신경 기능 검사까지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초기 진단이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병력 청취 및 신체 진찰
- 양말을 벗고 발바닥·발가락 감각 확인
- 햇빛, 통증, 온도, 진동 감각 이상 여부 체크
2) 신경전도검사 (NCS)
- 신경의 전기 신호 속도 측정 → 손상 정도 파악
- 객관적 수치로 확인 가능
3) 자율신경기능검사
- 혈압 변화, 심박 변동성, 땀 분비 테스트 등
4) 기타 검사
- 혈액검사 (HbA1c, 콜레스테롤, 염증수치 등)
- 피부 조직 검사 (소섬유신경 밀도 평가)
5. 치료 및 관리 – 증상 완화와 진행 억제가 핵심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완치보다는 증상 완화 및 진행 억제에 초점을 둡니다.
💊 약물치료
- 가바펜틴, 프레가발린: 신경통 완화
- 항우울제(TCA, SNRI): 통증 민감도 조절
- 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 트라마돌 등)
- 국소 치료제: 리도카인 패치, 캡사이신 크림
🍽 혈당 조절
- HbA1c 7.0% 이하 유지 권장
- 규칙적 식사, 당지수 낮은 식단
- 꾸준한 약물 또는 인슐린 치료
🧘♀️ 생활관리
- 금연, 절주, 규칙적 운동
- 비만 관리, 고지혈증·고혈압 치료 병행
- 발 관리: 매일 발 확인, 보습, 발톱관리 철저
🌿 보조요법
- 비타민 B군, 알파리포산 → 신경세포 회복 보조
- 침 치료, 물리치료 → 증상 완화 도움
6. 합병증 예방 – 발 건강이 생명입니다
감각이 둔해진 당뇨환자는 작은 상처나 물집이 악화되어 궤양, 괴사로 발전할 위험이 큽니다. 이를 막기 위한 철저한 발 관리와 정기적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발 관리 수칙
- 매일 미지근한 물로 세척 후 보습제 바르기
- 맨발 외출 금지, 꽉 끼는 신발 피하기
- 발톱은 일자로 자르고, 피부 벗겨짐 주의
- 상처는 즉시 소독, 감염 시 병원 내원
- 매년 족부 신경검사 및 족부 전문 진료 권장
주의: 감각이 없어도 화상, 동상, 상처는 생길 수 있으므로 예방이 최우선
마무리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은 자칫 방치하면 일상 기능 저하, 고통, 심각한 족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합병증입니다.
하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혈당을 철저히 조절하며, 생활습관을 관리하면 진행을 늦추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검사와 적극적인 치료로 신경 손상 예방과 건강한 당뇨 생활을 지켜나가세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항암제 부작용 – 면역 시스템의 양날의 검, 반드시 알아야 할 부작용 총정리 (0) | 2025.04.17 |
---|---|
비오틴 부작용 총정리 – 영양제 복용 전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0) | 2025.04.14 |
호중구 수치 올리는 방법 – 면역력 회복을 위한 6가지 실질적 전략 (0) | 2025.04.13 |
잇몸이 붓고 아플 때 – 원인부터 응급 대처법, 치료, 예방법까지 총정리 (0) | 2025.04.13 |
팔꿈치 통증 원인, 증상, 치료방법 – 테니스엘보만 있는 게 아닙니다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