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수혈 시 주의사항 총정리

the king 2025. 2. 1. 16:24

수혈 시 주의사항 총정리

수혈은 출혈, 빈혈, 질환 치료 등으로 인해 혈액이 부족할 때 외부에서 혈액을 공급하는 의료 행위이다. 하지만 부적절한 수혈은 부작용이나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1. 수혈 전 주의사항

혈액형과 혈액 적합성 검사 필수

  • 수혈 전 ABO 혈액형과 Rh 인자 검사를 반드시 확인
  • 교차 적합성 검사(Cross-Matching)를 통해 기증자 혈액과 환자 혈액의 적합성 확인

수혈 필요성 및 위험성 평가

  • 불필요한 수혈을 피하기 위해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평가
  • 환자의 혈색소(Hb) 수치, 출혈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

환자의 병력 및 약물 복용 확인

  • 알레르기, 과거 수혈 반응, 면역 질환, 항응고제 복용 여부 확인
  • 면역억제 치료 중인 환자는 면밀한 모니터링 필요

사전 혈액 검사 진행

  • **CBC 검사(전혈 검사)**로 환자의 혈구 수치 확인
  • 간 기능,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추가 검사가 필요

환자 신분 및 혈액 정보 확인

  • 환자의 신분과 혈액 정보(혈액번호, 혈액형)를 이중 확인하여 오류 방지
 

2. 수혈 중 주의사항

초기 15분 동안 면밀한 모니터링

  • 초기 15~30분이 수혈 부작용(알레르기, 용혈 반응)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
  • 맥박, 혈압, 체온, 호흡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

수혈 속도 조절

  •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속도로 혈액을 투여
  • 심장, 신장 기능이 약한 환자는 너무 빠른 수혈 시 부작용 발생 가능

수혈 중 이상 반응 즉시 보고

  • 오한, 발열, 가려움증, 호흡곤란, 흉통, 혈압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수혈 중단 후 의료진에게 보고

별도의 수혈 세트 사용

  • 혈액은 전용 수혈 세트(필터 포함)를 사용하여 투여
  • 수혈 세트는 한 단위(1팩)마다 교체하여 감염 방지

다른 약물과 혼합 금지

  • 수혈 중에는 혈액과 다른 약물을 동일한 라인에 투여하지 않음
  • 필요 시 별도의 정맥 라인 사용
 

3. 수혈 후 주의사항

수혈 후 이상 반응 모니터링

  • 수혈 후 1~4시간 동안 환자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
  • 발열, 발진, 혈압 저하, 소변 색 변화(붉은색) 등이 나타나면 즉시 보고

소변 색깔 확인 (용혈 반응 감시)

  • 수혈 후 소변이 붉거나 갈색으로 변하면 급성 용혈 반응 가능성
  • 즉시 소변 검사 및 추가 혈액 검사 필요

수혈 후 혈액 검사 시행

  • 수혈 후 CBC 검사(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수치 확인)
  •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이상 여부 확인

수혈 부작용 발생 시 대응

  • 발열, 오한 → 해열제 투여
  • 알레르기 반응(가려움, 발진, 두드러기) → 항히스타민제 투여
  • 호흡곤란, 쇼크 반응 → 수혈 즉시 중단 후 응급 조치

추가 감염 및 지연성 부작용 확인

  • B형, C형 간염, HIV, 매독 등의 감염 여부 모니터링
  • 지연성 면역 반응(수혈 후 수일~수주 후 발생 가능)도 주의
 

4. 수혈 부작용 및 합병증

🚨 급성 부작용(즉시 발생 가능)

  • 용혈성 수혈 반응: 수혈된 혈액이 면역 반응을 일으켜 적혈구가 파괴됨 (혈뇨, 쇼크 발생 가능)
  • 알레르기 반응: 가려움, 발진, 두드러기, 호흡곤란 발생 가능
  • 발열 반응: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열, 오한 발생

🚨 지연성 부작용(수일~수주 후 발생 가능)

  • 지연성 용혈 반응: 면역 체계가 늦게 반응하여 적혈구 파괴
  • 감염 전파: 드물지만, 간염, HIV 등의 감염 가능성
  • 철분 과다증(철분 축적): 반복적인 수혈로 인해 철분이 과다하게 축적될 수 있음
 

5. 수혈 시 필수 체크리스트

수혈 전
☐ 혈액형 검사 및 교차 적합성 검사 시행
☐ 환자의 병력, 약물 복용 여부 확인
☐ 신분 확인 및 혈액 정보 이중 확인

수혈 중
☐ 초기 15~30분 동안 면밀한 모니터링
☐ 혈압, 맥박, 체온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
☐ 수혈 중 이상 반응 발생 시 즉시 중단 및 보고

수혈 후
☐ 수혈 후 혈액 검사 시행 (CBC, 간 기능, 신장 기능)
☐ 소변 색 변화 여부 확인 (용혈 반응 감시)
☐ 감염 및 지연성 부작용 발생 여부 모니터링

📌 정확한 혈액 적합성 확인과 철저한 모니터링이 안전한 수혈을 위한 핵심이다.


 결론

수혈 전 혈액형 검사와 교차 적합성 검사가 필수
초기 15~30분 동안 부작용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
수혈 후 혈액 검사 및 감염 여부 확인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수혈 중단 및 의료진 보고